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성매매 집결지 14곳이 아직 전국에 남아있습니다.<br> <br>파주에선 속칭 용주골로 영업 중이고, 올해 안엔 문을 닫게 할 계획입니다.<br> <br>그러자 성매매 종사자들 "갈곳이 없다"며 반발 중입니다.<br> <br>전민명 기자의 현장 카메라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통유리가 늘어선 이곳은 수도권에 남은 성매매 집결지입니다. <br> <br>시가 강력하게 폐쇄 입장을 밝힌 상황인데요.<br> <br>현장의 목소리 들어보겠습니다.<br> <br>컴컴한 어둠 속 좁은 골목길. <br> <br>성매매 업소들이 불을 밝힌 채 영업을 이어갑니다. <br> <br>차량 여러대가 느린 속도로 업소 앞을 지나가자 여성들이 손을 흔듭니다. <br> <br>50여 곳의 업소가 모여있는 파주 성매매 집결지 속칭 '용주골'입니다. <br> <br>인근 주민들은 아이들 걱정에 밤 외출을 삼갑니다. <br> <br>[최분주 / 파주시민] <br>"아이들의 교육적인 문제나 그리고 여성의 인권 차원에서도 그다음에 파주 지역의 이미지로나 없어져야 한다고 생각하고요." <br> <br>파주시도 "성매매는 불법"이라며 70년 넘게 유지돼온 이 곳을 연내 폐쇄하겠다는 입장. <br> <br>[현장음] <br>"튀어나와있으니까 이런 게 불법인 거고. 저 건물 벽선에서 튀어나와있잖아요." <br> <br>일단 불법 건축물 단속을 통해 폐쇄를 압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파주시와 맞닿은 동두천시도 성매매 여성들이 넘어오는 '풍선효과'를 우려해 폐쇄를 결정했습니다. <br> <br>[동두천시 관계자] <br>"이번에 파주시에서 없애려고 노력 중이잖아요. 그 여성들이 저희한테 올 수도 있어서 저희도…." <br> <br>현장카메라팀이 만난 성매매 종사자 10여 명은 당장 쫓겨난다면 또 다른 형태의 성매매를 할 수 밖에 없다고 호소합니다. <br> <br>[성매매 종사자] <br>"저희가 조사를 했는데 아가씨들. 여기가 없어지면 어디로 갈 생각이냐? 노래방, 오피스텔, 조건 만남." <br> <br>그러면서 최소한 떠날 준비를 할 시간을 달라고 주장합니다. <br> <br>[성매매 종사자] <br>"3년이 됐든 몇 년이 됐든 저희는 기간을 달라는 거예요. 무조건 폐쇄가 아니라. 자기가 뭐라도 배울 거 아니야. 한두 개씩이라도." <br> <br>75곳의 성매매 업소가 모여있던 강원도 원주의 희매촌. <br> <br>원주시가 희매촌 부지를 서서히 매입해 이제 관련 업소는 절반 이하로 줄었습니다. <br><br>성매매 업소가 운영 중인 곳 바로 앞인데요.<br><br>시민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이 들어섰습니다.<br> <br>[원주시청 관계자] <br>"생업을 하시는 입장에서 생존권에도 좀 문제가 있고 그래서 저희가 확! 하면 역효과가 날 거 같아서 점차적으로 폐쇄를 추진 중에 있는 거죠." <br> <br>전국에 남아있는 성매매 집결지는 이제 14곳. <br><br>신속한 폐쇄 못지 않게 관련 종사자들이 사회로 복귀할 수 있도록 중·장기적인 자활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현장카메라 전민영입니다. <br><br>PD : 장동하 윤순용 <br>AD : 석동은 <br>작가 : 전다정<br /><br /><br />전민영 기자 pencake@ichannela.com